새해 사람들이 가장 많이 하는 계획 중 하나가 다이어트와 운동입니다. 그런데 새해 계획을 세우고 가장 먼저 찾아오는 시련이 있습니다. 바로 설 명절입니다. 오랜만에 가족, 친구들과 모여 과식과음 후에 항상 후회합니다. 그리고 다음 날 살찌는 느낌이 드는 것 같습니다. 맞습니다. 지금 이 글을 읽으시는 분은 살이 찌고 있습니다.
살찌는 느낌, 증거
많은 사람들이 살찌는 느낌을 자주 경험 하지만 정확한 이유를 알지 못하고 그냥 넘겨 버릴 때가 많습니다. 살이 찌는 속도는 가속도가 붙기 때문에 하루빨리 생활패턴에 변화를 줘야 합니다.
아래 12가지 살이 찌는 느낌을 보고 본인에게 해당사항이 몇 개나 있는지 확인해 봅시다.
1. 얼굴과 몸이 붓고 무겁다.
2. 옆구리와 사타구니 등 몸이 간지럽다.
3. 평소 입던 옷이 불편하고 편한 옷만 찾는다.
4. 잠을 충분히 자도 피곤하다.
5. 뭐든 맛있다.
6. 피부에 눌린 자국이 오래 남아 있다.
7. 음식을 먹다가 볼을 씹는다.
8. 땀과 방귀 냄새가 평소보다 지독하다.
9. 코골이를 한다.
10. 잔뇨감이 든다.(평소보다 많이)
11. 내 모습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사진, 거울)
12. 이 글을 끝까지 읽었다.
몇 가지나 해당사항이 있으신가요? 3가지 이상 해당 사항이 있다면 살이 찌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잠시 부어서 그렇다고 하시는 분이 있을 수 있지만 붓는 것이 살이 찌기 전조입니다. 지금 당장 생활패턴을 바꾸셔야 합니다.
당장 할 수 있는 다이어트 실천 사항
1. 물을 많이 마신다.
물 마시기는 공복을 줄여 주는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심지어 평소 과식을 하는 사람들 중에는 수분 섭취가 부족해서 목마름을 배고픔과 혼동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물을 충분히 마셔주고 식사 전에도 마셔주면 섭취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다이어트 자극 사진을 찾는다.
자극은 사람을 충전시켜 주는 훌륭한 방법입니다. 자신이 원하는 몸매나 워너비도 좋고 멋진 이성의 사진도 좋습니다. 되기 위해서 어울리기 위해서 우리는 노력해야 됨을 알고 있고 충분히 자극받고 정신과 의지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3. 친구, 연인과 약속을 잡는다.
친구, 연인과 약속을 잡으면 한 끼 정도는 꼭 외식하게 됩니다. 외식에서 다이어트에 전혀 도움이 되지 않는 음식을 섭취할 수도 있지만 친구 또는 연인과 함께 하는 식사는 평소보다 길고 공복감을 충분히 느끼게 해 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본인을 최상의 컨디션으로 만들기 위해 단기간 안에 많은 것을 해낼 수 있습니다. 그것이 바로 인간입니다.
4. 밀린 회사 일을 끝낸다.
밀린 회사의 일을 끝내고 나면 스트레스로 인해 과식을 할지도 모릅니다. 중간에 포기하고 소주를 마시게 하는 원인이 될 수도 있죠 이런 것만 아니라면 회사 일을 하면서 공복을 잊고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습니다. 한 가지에 집중하는 것은 공복도 느끼지 못하게 합니다. 사람은 그만큼 단순합니다.
▼같이 읽으면 좋은 글
설 명절 음식 칼로리와 GI지수
그리고 같은 실수를 반복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결국엔 해낼 것입니다. 건강한 다이어트를 하게 될 것이고 다른 사람의 워너비 또는 이상형이 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다음 살 빠지는 느낌을 받을 때까지 포기만 하지 않으면 됩니다. 하루 이틀 정도는 쉴 수 있습니다. 다시 시작하면 되니까요
살 빠지는 느낌
1. 일상생활에 활기가 넘칩니다.
2. 운동 능력이 향상됩니다. (몸이 가볍습니다)
3. 배변 활동이 활발해집니다.
4. 기분이 좋습니다.
5. 채소나 과일 등 식이섬유 섭취가 많습니다.
6. 잠을 잘 잡니다.
7. 자신감이 높아집니다.
8. 과식을 하지 않습니다.(의도하지 않아도)
9. 음식을 직접 만들어 먹습니다.
10. 밖으로 나가고 싶습니다.
해당 하상이 있으신가요?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느끼는 것이기 때문에 직전 살찌는 느낌을 받고 다이어를 시작하신 분들은 공감하실 수 있겠지만 현재 체중관리가 필요하지 않으시다면 공감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아름다운 몸매를 위해 운동하는 것도 좋지만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위해 우리는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5년마다 바디 프로필을 찍는다는 생각으로 우리 모두 관리해 봅시다.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유 전기자전거 일레클(elecle) (0) | 2023.02.10 |
---|---|
마스크 실내 착용 해지와 의무 착용 장소 정리 (0) | 2023.01.29 |
설 명절 음식 칼로리와 GI지수 (0) | 2023.01.22 |
가족호칭 남편의, 아내의 가족은 어떻게 부를까? (0) | 2023.01.22 |
창원 마산 키즈카페 '히어로플레이파크' 다양한 놀이기구와 테마 (0) | 2023.01.2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