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산양유 단백질 효능과 추천

by Creater 2023. 3. 7.
반응형

▼ 목차

더보기
  1. 산양유 단백질이란?
  2. 산양유 단백질 효능
  3. 단백질 보충제 무용론
    1. 건강 기능 식품 시장의 성장
    2. 단백질 보충제 허위 과장 광고
    3. 산양유 원료와 원산지
  4. 원료에 따른 단백질 보충제
    1. 단백질 보충제 종류(분말)
    2. 산양유 단백질 분말 종류
    3. 식물성 단백질의 장점
  5. 산양유에 대한 이해
    1. 산양유(Goat Milk)
    2. 산양유와 우유(Cow Milk) 비교
    3. Beta-카제인 A1와 A2
  6. 산양유 생산과 가격
  7. 산양유 단백질 구매 시 고려사항
    1. 산양유 단백질 먹는법
    2. 원재료 및 함량(산양유 비중)
    3. 영양성분 중 단백질량
    4. HACCP 인증과 기타 인증
    5. 가격
  8. 산양유 단백질의 부작용
  9. 산양유 단백질 분말 추천
    1. 프로게이너 산양유단백분말
    2. BNS 산양유 단백질 100
    3. 올바른 습관 네덜란드 산양유 단백질 분말
  10. 결론

 

▼ 참고 논문 및 자료

더보기

A 100-Year Review : Advances in goat milk research, 2017년

A Meta-Analysis of 46 Studies Identified by the FDA Demonstrates that Soy Protein Decreases Circulating LDL and Tota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Adults, 2019년

영양성분표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2022년 조사 내용을 근거로 제작

 

산양유 단백질이란?

산양유 단백질은 산양의 우유에서 추출한 단백질입니다. 산양유(Goat milk)는 단백질 함량이 모유(Breast Milk)보다 약 3배 높으며 몸에서 합성되지 않는 필수 아미노산의 경우 2.5배가 많습니다. 

이에 산양유 단백질은 소아(아동) 뿐만 아니라 단백질 섭취가 부족한 중장년층에게 효과적인 단백질 공급원이 될 수 있습니다.

노년층 단백질 섭취 부족에 대한 뉴스 타이틀

 

산양유 단백질 효능

산양유는 고대 때부터 인간이 섭취해 온 고품질의 음식으로 인간의 모유와 매우 비슷합니다. 이는 2017년 미국 낙농 과학 협회에서 발표한 '염소 우유 연구의 발전(Advances in goat milk research)'에 나와 있는 내용입니다.

Goat milk has been an important part of human nutrition for millennia, in part because of the greater similarity of goat milk to human milk.

 

특히 산양유는 인간의 모유보다 단백질 함량이 높으며 젖소의 우유보다 유당이 적기 때문에 유당 불내증이 있는 사람이나 소아(아동)가 소화하기 더 쉽습니다.

그리고 뼈를 구성하는 주요 성분인 칼슘과 인의 함량이 높아 유아나 고령층이 섭취하면 좋습니다.

100g 당 단백질 칼슘
모유 1.1g 27mg 14mg
우유(Cow milk) 3.1g 113mg 84mg
산양유(Goat milk) 3.2g 149mg 134mg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산양유의 장점과 가치에 대한 근거 논문
출처 : Advances in goat milk research, 2017년

영양학적으로나 기능적으로 산양유는 우수한 영양 공급원이기 때문에 논문에서는 산양유와 일반 우유(Cow mlik)가 섞였는지 감지하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The high value of goat milk throughout the world has generated a need for a variety of techniques to detect adulteration of goat milk products with cow milk.

 

단백질 보충제 무용론

과거 단백질 보충제가 일반인들에게 보급될 때부터 산양유와 같이 우수한 원료로 만들어지는 단백질 보충제가 만들어지는 지금까지 단백질 보충제의 무용론이 여전히 남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식단을 통해 필요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바쁜 현대인과 특히 근육이 줄어들기 시작해 더 많은 단백질 섭취를 필요로 하는 시니어들은 식단으로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 흡수하지 못할 수 있기 때문에 단백질 보충제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물론 모두에게 해당되는 사항은 아니며 개인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단백질 보충제는 건강 기능 식품으로 분류되고 있습니다.

 

건강 기능 식품 시장의 성장

단백질 보충제 시장과 더불어 건강기능식품의 시장 규모가 2022년 6조 원을 넘어섰습니다. 팬데믹 중에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이 선보였습니다.

단백질 보충제 시장은 2021년 대비 약 40% 증가한 약 1,400억 원의 매출 금액을 기록했고 중장년층을 중심으로 시장이 성장하였습니다.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 성장 그레프건강 기능 식품인 단백질 보충제는 시니어가구 중심 성장
출처 :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

이로 인해 다양한 단백질 보충제가 판매되기 시작했는데 그중 가장 눈에 띄는 것이 산양유를 원료로 한 산양유 단백질 시장입니다.

이전에도 산양유를 원료로 한 단백질 제품은 있었습니다. 다만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고가의 원료로 수요가 적었습니다. 하지만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가 커지면서 단백질 보충제를 찾는 고객의 니즈도 다양해졌고 이에 맞춰 시장이 성장, 변화했습니다.

다만 시장 규모의 성장과 함께 허위, 과장 광고 제품 심지어 원료를 속이는 일이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들을 우롱하고 있습니다.

이에 본 글에서는 산양유 단백질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통해 올바른 제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몇 가지 가이드와 제품을 추천하려 합니다.

 

단백질 보충제 허위 과장 광고

단백질 보충제는 영양학적으로 부족한 단백질을 보충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건강 기능 식품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모든 단백질 보충제가 동일하게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면 몇몇 제품은 탄수화물, 설탕, 인공 향료를 과도하게 많이 함유하고 있거나 단백질 함량이 의미 없는 수준으로 적은 제품들도 있습니다.

단백질 보충제 허위 부당 광고에 대한 뉴스 타이틀

이러한 제품은 단백질 보충제가 아닌 일반 간식거리에 불과한 것으로 영양학적으로 건강 기능 식품으로 보기 어렵습니다.

쉽게 말해 허위, 과장 광고를 통해 판매되는 제품은 단백질 보충이 아닌 체중 증가와 영양 불균형으로 대사성 질환까지 일으킬 수 있습니다.

 

산양유 단백질 원료와 원산지

산양유(우유)와 단백질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나라는 인도로 연간 500만 톤을 생산하고 있습니다. 뒤를 이어 방글라데시 200만 톤, 수단 150만 톤입니다. 

산양유(우유)는 단백질로 가공되지 않은 상태로 단백질 분말로 가공되면 이를 산양유 단백질 분말(가공) 원료가 됩니다. 

즉 산양유(우유)는 인도, 중국 기타 여러 나라에서 생산하더라도 분말로 가공된 곳이 어디냐에 따라 원산지(분말을 생산한 곳)가 결정되기 때문에 산양유 단백질 분말 원료를 생산하는 곳과 산양유(우유)를 생산하는 곳에 대한 정보를 잘 알아야 합니다.

앞서 말한 것처럼 산양유는 고급 우유로 분류되기 때문에 일반 우유(Cow milk)와 혼합하여 판매되는 경우도 있어 산양유를 구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고 언급된 바 있습니다.

 

원료에 따른 단백질 보충제 종류

단백질 보충제는 원료에 따라 크게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로 나뉩니다.

동물성 단백질은 유청(치즈를 생산할 때 발생하는 부산물), 우유, 소고기, 계란 등에서 추출되고 식물성 단백질은 대두, 완두콩, 현미, 대마씨 등에서 추출하여 생산됩니다.

원료에 따른 단백질 분류 주원료
동물성 단백질 유청, 우유, 소고기, 달걀 등
식물성 단백질 대두, 완두콩, 현미, 대마씨 등

동물성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 9가지를 모두 포함하기 때문에 동물성 단백질을 원료로 한 제품이 가장 많이 판매되고 있습니다.

다만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기 어려운 사람은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할 수 있습니다. 동물성 단백질을 섭취하기 어려운 사람은 다음과 같습니다.

  • 유당 불내증이 있는 사람
  • 우유를 소화하기 어려운 사람
  • 채식 주의자(비건)

동물성 단백질인 산양유는 우유(Goat milk)를 원료로 하지만 일반 우유(Cow milk)보다 유당 함량이 적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섭취가 편할 수 있습니다. 

▶ 참고 자료 : 원료에 따른 단백질 보충제 종류와 특징

 

단백질 가공에 따른 분류(분말)

단백질은 분말 형태로 가공된 상태가 흡수 효율이 좋기 때문에 분말 형태로 섭취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단백질 분말은 가공하는 정도에 따라 3가지로 분류되는데 유청 단백질을 예로 들면 가공 정도에 따라 농축유청단백질(WPC), 분리유청단백질(WPI), 유청단백질가수분해물(WPH)로 분류합니다. 

유청 단백질(가공 공정) 특징 흡수 시간
농축유청단백질(WPC) 유당과 지방이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됨  60~90분
분리유청단백질(WPI) 유당과 지방 초대한 제거해 단백질 함량이 높음 30~60분
유청단백질가수분해물(WPH) 단백질을 더 작은 펩타이드와 아미노산으로 분해한 상태로 흡수가 빠름 30분 이내

▶ 참고 자료 : 유청 단백질 보충제 종류와 특징

 

산양유 단백질 분말 종류

시중에 판매되는 산양유 단백질 분말도 MPI(Micellar casein protein isolate) , MBP(Milk basic protein) 두 종류로 분류되는데 특성과 주요 기능이 다릅니다.

가공 공정 특징 주요 기능
(우유)카제인단백질(MPI) 카제인이 소화 흡수를 늦춰 아미노산 흡수가 오랫동안 지속됨 근육 생성 및 회복에 초점을 맞춤
우유단백질(MBP) 유청과 카제인 단백질로 구성된 단백질 칼슘 흡수와 뼈 건강에 초점을 맞춤

MPI, MBP는 기본적으로 단백질 보충제의 역할을 하고 있기 때문에 단백질 보충제로써 모두 좋습니다. 다만 목적에 따라 효율이 달라지는 것으로 어느 것이 더 좋다고 말하기 어렵습니다.

 

식물성 단백질의 장점

식물성 단백질은 필수 아미노산이 하나 이상 부족하거나 결핍되어 있지만 여러 장점이 있습니다. 

대두(콩) 단백질의 경우 콜레스테롤(LDL) 수치를 낮추고 심혈관 건강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동물성 단백질 생산에 비해 환경친화적이고 비용적인 측면에서 유리합니다.

개인에 따라 식물성 단백질을 섭취해야만 하는 경우도 있지만 단백질의 소화흡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동물성 단백질과 식물성 단백질을 혼합하여 섭취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혼합 제품도 많습니다.)

상대적으로 흡수가 빠른 동물성 단백질을 흡수가 느린 식물성 단백질과 혼합하여 섭취하면 섭취 초기에는 동물성 단백질을 먼저 소화흡수하고 시간이 흐린 뒤에는 식물성 단백질을 흡수하게 만들어 지속적인 단백질 흡수가 가능해집니다.

근력 운동을 하는 경우(근육 성장을 목적) 잠을 자는 동안 단백질 섭취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성 단백질을 자기 전에 섭취하여 오랫동안 단백질을 흡수되도록 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아래 3가지 상황은 유청과 우유를 원료로 한 동물성 단백질 섭취가 어렵기 때문에 식물성 단백질을 대체제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유당 불내증이 있는 사람
  • 우유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
  • 비건 

 

산양유에 대한 이해

산양유(Goat Milk)

국내에서 판매되고 있는 산양유 제품은 염소 우유입니다. 산양(Goral)과 염소(Goat)는 비슷 하지만 염소는 전 세계적으로 사육되는 가축이고 산양은 아시아와 아메리카 일부 지역에서만 발견됩니다.

산양유(Goat milk) 원산지를 보면 대부분 네덜란드, 오스트리아로 밝히는 것은 산양유가 염소 우유라는 사실을 뒷받침합니다.(염소를 산양으로 해석한 것은 허위나 과장광고가 아닌 단순 오류로 보입니다.)

산양유 제품 생산업체에서 밝히고 있는 원료 공급사를 찾아보면 염소(Goat) 우유를 가공 판매, 유통하고 있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 CBM : CBM은 네덜란드에 위치한 유제품 생산회사 Ausnutria의 염소 우유 브랜드입니다. Ausuntria는 염소 우유를 전문적으로 가공하는 회사로 100년 이상의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 ▶ Ausnutria 사이트 바로가기
  • Buisman :  Buisman은 네덜란드에 위치한 100년의 역사를 가진 회사로 고품질 유아용 조제분유를 생산하는 회사입니다. ▶ Buisman 사이트 바로가기
  • Prolactal :  오스트리아에 위치한 유제품 원료 생산업체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 비즈니스가 매출의 60%를 차지합니다. ▶ Prolactal 사이트 바로가기

Ausnutria 홈페이지 메인 화면
Ausnutria 홈페이지 메인 화면

 

산양유와 우유(Cow milk)  비교

앞서 염소유(이하 산양유)는 일반 우유(Cow milk)와 비교해 장점이 많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산양유는 단백질(카제인)과 기타 영양소의 함량이 우유보다 높고 유당이 낮아 영양학적으로 우수함은 물론이고 우유 속 단백질(카제인)과 비교해 소화가 잘되기 때문에 소아(아동)와 시니어의 영양보충과 건강에 좋습니다. 

100g 당 산양유(Goat milk) 우유(Cow milk) 모유
단백질 3.16g 3.08g 1.1g
유당 3.24g 4.12g 6.4g
필수 아미노산 1.595g 1.381g 0.455g
칼슘 149mg 113mg 27mg
134mg 84mg 14mg

△우유(Milk) 100g 당 영양,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필수 아미노산의 경우 신체에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을 통해 섭취해야 합니다. 성인의 경우 필수 아미노산을 8가지로 정의하고 있으나 소아(성장기)의 경우 히스티딘(경우에 따라 아르기닌을 포함)을 포함합니다.

100g 당 (함량: mg) 산양유(Goat milk) 우유(Cow milk) 모유
이소류신 157 120 53
류신 325 333 100
라이신 239 232 67
메티오닌 82 72 15
페닐알라닌 163 135 43
트레오닌 179 129 46
트립토판 41 31 15
발린 223 158 58
히스티딘 89 73 26
아르기닌 97 98 32

△ 우유(Milk) 100g당 필수 아미노산 함량, 출처 : 식품의약품안전처

▶ 참고 자료 : 필수 아미노산 9가지와 섭취방법

 

Beta-카제인 A1와 A2

모든 우유는 흰색의 불투명한 액체인데 이는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Beta-카제인, 이하 카제인) 때문입니다.

카제인은 그 상태에 따라 카제인 A1, 카제인 A2로 구분되는데 카제인 A1은 일반 우유(Cow milk) 속 카제인의 주된 형태로 소화가 어렵습니다. 반면 카제인 A2는 산양유를 속 카제인을 형성하는 주된 성분으로 소화가 쉽습니다.

Beta-카제인
Beta-카제인 A1 Beta-카제인 A2
우유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된 형태 산양유 단백질을 구성하는 주된 형태
소화가  어려움 소화가 쉬움

카제인 함량은 산양유 제품 홍보를 위해 사용되는 내용으로 카제인에 대한 이해가 조금만 있다면 제품 구매 시 도움이 됩니다.

 

산양유 생산과 가격

산양유의 영양학적 기능적 가치를 바탕으로 산양유의 가격이 우유보다 높을 것이란 것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산양유는 일반 우유(Cow milk)에 비해 생산량이 10~20배까지 차이나고 염소의 관리와 유축까지 드는 비용이 많습니다. 때문에 산양유는 일반적으로 우유(Cow milk)에 비해 2~2.5배 높은 가격에 판매됩니다. 

  • 하루 산양유 생산량 : 2~3L
  • 하루 일반 우유(Cow milk) 생산량 : 20~30L

그리고 우리나라의 경우 산양유를 수입에 의존하기 때문에 소비자 가격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 참고 자료 :  산양유 착유 방법

 

산양유 단백질 구매 시 고려사항

산양유 단백질 먹는법

산양유 단백질 분말은 기본 용량부터 1회 섭취량까지 제품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납니다. 

단백질 보충제는 앞서 말한 것과 같이 식단으로 충분히 섭취하지 못한 단백질을 보충하는 역할은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굳이 1회 섭취량을 따를 필요는 없습니다.

하지만 너무 많은 양을 섭취하면 흡수되지도 않고 간과 신장에 부담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필요 단백질량에 맞춰 섭취하면 됩니다.

  • 산양유만 섭취할 경우 : 1회 섭취 시 단백질 중량을 20g 내외로 섭취
  • 식사 또는 다른 단백질을 포함한 음식과 함께 먹을 경우 : 단백질 중량을 10g 이하로 사용 
  • 주의사항 : 단백질 중량(g)은 1회 섭취량과 다릅니다. 단백질 중량은 영양정보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 참고자료 : 단백질 보충제 먹는법과 타이밍

 

산양유 단백질 구매를  위해 중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 원재료 및 함량(산양유 비중)
  • 영양성분 중 단백질량
  • HACCP 인증과 기타 인증
  • 가격

 

원재료 및 함량(산양유 비중)

산양유를 제품 이름에 붙여서 산양유 단백질이라 광고하는 제품들이 많이 있습니다. 실제 판매되는 제품 중에는 산양유 비중이 5% 이하인 제품부터 100% 산양유로 구성된 제품까지 있습니다.

산양유는 가공 정도에 따라 단백질의 비중이 달라질 수는 있지만 기존 산양유에 포함된 영양소를 포함하기 때문에 산양유(주요 원료)의 비중을 확인하고 구매해야 합니다.

A [원재료 및 함량]  네덜란드 산양유단백질(MBP) 100% - -
B [원재료 및 함량]  네덜란드 산양유 프로틴 5% 미국 농축유청단백질(WPC) 93% 뉴질랜드 초유 2%
C [원재료 및 함량]  오스트리아 산양유 단백질(MBP) 미국 분리대두단백(ISP) 분리대두단백(ISP)
D [원재료 및 함량] 미국 농충유청단백분말[WPC(100%)] 산양유단백분말(네덜란드 산양유 100%) 분리대두단백(ISP)

위 표는 임의로 작성한 4가지 [원재료 및 함량] 표기입니다.

  • A [원재료 및 함량]의 경우 원재료가 산양유단백질분만 100%로 정확하게 표기되어 있습니다. 매우 좋습니다.
  • B의 경우 산양유 프로틴 5%로 전체 원재료 중 5%만 해당되기 때문에 산양유 단백질이 첨가된 수준입니다.
  • C는 여러 원재료가 혼합되어 있지만 함량이 표기되어 있지 않습니다. 산양유가 90% 일 수도 있지만 5% 이하 일 수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D는 산양유 단백질 분말의 함량을 표기하지 않고 혼합된 산양유의 종류가 '네덜란드 산양유 100%'라고 광고하는 것으로 소비자가 산양유 100% 함량으로 오해할 수 있습니다.

 

영양성분 중 단백질량

영양성분 중 단백질량은 원료를 산양유 단백질을  100% 사용해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이는 단백질 원료를 가공하는 정도와 혼합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1회 분량당 단백질의 비중을 계산해 보고 구매하면 효과적인 구매를 할 수 있습니다.

A [영양정보] 1회 당 10g 탄수화물 4g 지방 0g 단백질 6g
B [영양정보] 1회 당 20g 탄수화물 8g 지방 4g 단백질 8g
C [영양정보] 1회 당 10g 탄수화물 5g 지방 3g 단백질 2g
D [영양정보] 1회 당 10g 탄수화물 7g 지방 2g 단백질 1g

위 표는 임의로 작성한 4가지 [영양정보] 표기입니다. 

  • A의 경우 단백질의 비중이 전체 중량의 60%를 차지합니다. 국내 판매되는 100% 산양유 단백질 분말 제품은 대부분 약 60%의 단백질 비중을 가집니다.
  • B의 경우 단백질 비중이 전체 중량의 40%로 단백질 보충제로써 기능은 충분합니다.
  • C는 단백질 비중이 전체 중량의 20%로 단백질 보충제의 기능이 부실합니다.
  • D 영양정보는 단백질 비중이 10% 이하로 단백질 보충제로 보기 어렵습니다.

 

HACCP 인증과 기타 인증

해썹(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은 식품의 원료 생산부터 최종 소비자까지 전달되는 모든 과정에서 오염이나 위해요소가 섞이는 것을 확인, 평가하는 관리 기준을 말합니다. 

해썹, HACCP 인증 마크GMP 인증 건강기능식품제조기준

  • 생물학적 위해요소 : 병원성미생물, 부패미생물, 곰팡이 등
  • 화학적 위해요소 : 중금속, 항생물질, 항균물질, 성장호르몬, 환경호르몬 등
  • 물리적 위해요소 : 돌, 플라스틱, 유리조각, 금속 등

건강 기능 식품은 해썹(HACCP) 인증이 필수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인증이 없거나 대체하는 경우가 있는데 인증을 받기 위한 절차와 기준이 있는 만큼 인증된 제품을 추천합니다.

해썹(HACCP) 외에도 다양한 식품 관련 인증이 있으며 대표적인 인증으로 GMP, ISO 등이 있습니다.

  • HACCP : 식품 오염 및 이물질에 대한 확인, 평가
  • GMP : 의료기기 및 건강 기능 식품의 품질, 안전성, 관리, 적합성 인정
  • ISO 9001 : 제품을 생산, 공급하는 생산 시스템에 대한 품질경영시스템을 평가 인증

원료를 생산하는 업체에서도 여러 인증을 관리 평가받고 그 결과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상기 산양유 단백질 원료를 생산하는 각 회사 사이트 링크를 이용하면 확인 가능 합니다.

 

가격

산양유는 일반 우유(Cow milk)보다 가치가 높기 때문에 혼합된 제품보다 순수 산양유 단백질 제품의 중량당 단가를 계산해 보면 좋습니다.

단백질 보충제 원료는 단순히 일반 우유(Cow milk)만 있는 것이 아니라 초유나 WPI 같은 고품질 고단백 식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개인이 모든 원료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가격을 평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산양유 100% 단일(미혼합) 제품을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쉬운 방법입니다.

 

산양유 단백질의 부작용

산양유 단백질은 일반적으로 안전합니다. 하지만 우유 알레르기나 소화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은 섭취에 신경 써야 합니다.

산양유는 일반 우유(Cow milk)에 비해 적은 유당을 포함하고 단백질 분말을 만드는 과정에서 많이 제거됩니다. 하지만 유당 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그 정도에 따라  신경 써야 합니다.

산양유는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음식이지만 비타민 B6, B12, 엽산이 부족합니다.

  • 비타민 B6 : 헤모글로빈과 신경조직 생성을 도움
  • 비타민 B12 : 신경물질과 적혈구 생성 및 DNA 합성에 관여
  • 엽산 : 헤모글로빈과 DNA 합성에 관여하고 태아의 신경 발달에 중요한 역할

엽산은 비타민 B(비타민 B9)의 복합체로 산양유는 비타민 B군의 부족이 단점입니다. 비타민 B군은 몸에 저장되지 않기 때문에 반감기(8~15일) 내에 섭취해야 합니다.

100g 당 비타민 B6 비타민  B12 엽산
산양유(Goat milk) - - -
우유(Cow milk) - 0.34ug 2ug
모유 - - -
소고기(구이) 0.26mg 2.56ug 7ug
조개(바지락) - 74ug 32ug

 

산양유 단백질 분말 추천

아래 추천 제품은 개인적인 생각을 바탕으로 추천한 제품입니다. 더 우수한 품질과 가격을 가진 제품이 있을 수 있고 개인의 목적에 따라 단백질 섭취량과 방법이 달라지기 때문에 참고만 하시면 됩니다.

  • 프로게이너 - 산양유단백분말
  • BNS - 산양유 단백질 100
  • 올바른 습관 - 네덜란드 산양유 단백질 분말

프로게이너 산양유단백분말 사진BNS 산양유 단백질 100올바른 습관 네덜란드 산양유 단백질 분말
산양유 단백질 100% 제품 예시

 

프로게이너 산양유 단백분말

  • 산양유 단백질 분말을 100% 사용합니다.
  • 네덜란드, Buisman(유제품 생산업체)에서 원료를 공급받습니다.
  • 단백질 비중이 60% 이상입니다.
  • HACCP, GMP 인증을 받았습니다.
  •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BNS 산양유 단백질 100

  • 산양유를 100% 사용합니다.
  • 네덜란드, Ausuntria(염소 우유 전문 가공업체)에서 원료를 공급받습니다.
  • 단백질 비중이 60% 이상입니다.
  • HACCP 인증을 받았습니다.

 

올바른 습관 네덜란드 산양유 단백질 분말

  • 산양유 단백질 분말을 100% 사용합니다.
  • 네덜란드, Ausuntria사의 CBM(염소 우유 브랜드) 원료를 사용합니다.
  • 단백질 비중이 60% 이상입니다.
  •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결론

단백질은 식단(식사)을 통해 섭취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하지만 바쁜 직장인과 학생 그리고 단백질 섭취와 흡수 능력이 부족한 중장년층은 단백질 보충제를 통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산양유 단백질은 산양유의 영양학적으로 고품질이긴 하지만 부족한 영양소(비타민 B, 엽산 등)가 있기 때문에 식사를 대체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권장 단백질 섭취량은 개인의 식습관과 라이프스타일 및 흡수능력 등에 따라 다릅니다. 목적에 따라 단백질을 섭취, 보충하되 필요 이상의 흡수는 의미가 없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 같이 읽으면 좋은 글

 

단백질바 종류와 추천 7제품

단백질바는 원료에 따라 여러 가지 제품이 생산되고 있습니다. 우유나 유청에서 추출된 단백질바부터 비건을 위한 식물성 단백질바까지 다양한 제품이 있는데 오늘 프로틴바 종류를 알아바고 7

mjobs.tistory.com

 

산양유 단백질 효능과 추천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