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아버지뻘 친척 호칭 중에 숙부, 백부, 당숙, 종숙, 외당숙 등이 있는데 과연 이러한 호칭은 정확히 어떤 분들에게 사용하는 게 맞을까요?
가족 행사나 명절에 이웃친지를 만나면 호칭을 부르지 못해 난감한 경우가 많은데 미리 알아두고 가면 갑작스러운 소개타임에도 어색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친척 호칭 '아버지의' 누구누구
친척 호칭은 본인 즉 자신의 '아버지와' 관련된 사람을 부르는 호칭으로 흔하게 쓸 일은 없습니다. 하지만 친척들이 많이 모이는 자리가 있을 때면 미리 대비해 두면 좋습니다.
아버지의 □□□□
형 : 숙부
사촌형 : 당숙(=종숙)
아버지와 관계 | 나와의 관계 | 내가 부르는 호칭 | 나의 아내가 부르는 호칭 |
형 | 3촌 | 백부(=큰 아버지, 삼촌) | 백부(=삼촌) |
동생 | 3촌 | 숙부(=작은 아버지, 삼촌) | 숙부(=삼촌) |
사촌 형 | 5촌 | 당숙(=종숙, 종백부) | 당숙(=종숙, 종백부) |
사촌 동생 | 5촌 | 당숙부(=종숙부) | 당숙부(=종숙부) |
친척 호칭 '어머니의' 누구누구
어머지의 □□□□
형(오빠) : 외삼촌
사촌형(오빠) : 외당숙(=외종숙)
어머지와 관계 | 나와의 관계 | 내가 부르는 호칭 | 나의 아내가 부르는 호칭 |
오빠, 남동생 | 3촌 | 외삼촌 | 외삼촌 |
언니, 여동생 | 3촌 | 이모 | 이모 |
사촌 오빠, 남동생 | 5촌 | 외당숙(=외종숙) | 외당숙(=외종숙) |
친가에서의 가족 관계와 촌수
증조(증조할아버지) (3촌) |
||||||
대고모(고모할머니) (4촌) |
조(할아버지) (2촌) |
종조(큰할아버지) (4촌) |
||||
내종숙 (5촌) |
고모 (3촌) |
아버지 (1촌) |
백숙부(큰아버지) (3촌) |
종백숙부(당숙) (5촌) |
||
내재종형제(고종형제)(6촌) | 내종형제(사촌) (4촌) |
자매 (2촌) |
나 | 형제 (2촌) |
종형제(사촌) (4촌) |
재종형제 (6촌) |
내재종질 (7촌) |
내종질(사촌조카) (5촌) |
생질(조카) 3촌 |
자녀 (1촌) |
질(조카) (3촌) |
종질(사촌조카) (5촌) |
재종질 (7촌) |
내삼종손 (8촌) |
내재종손 (6촌) |
이손 (4촌) |
손자 (2촌) |
종손 (4촌) |
재종손 (6촌) |
삼종손 (8촌) |
외가에서의 가족 관계와 촌수
외증조(외증조할아버지) (3촌) |
||||
종이모 (4촌) |
외조(외할아버지) (2촌) |
외종조 (4촌) |
||
이종숙 (5촌) |
이모 (3촌) |
어머니 (1촌) |
외숙(외삼촌) (3촌) |
외종숙(외당숙) (5촌) |
외내재종형제 (6촌) |
이종형제(사촌) (4촌) |
나 | 외종형제(사촌) (4촌) |
외재종형제 (6촌) |
외내재종질 (7촌) |
이종질(사촌조카) (5촌) |
외종질(사촌조카) (5촌) |
외재종질 (7촌) |
|
외내삼종손 (8촌) |
이재종손 (6촌) |
외재종손 (6촌) |
외삼종손 (8촌) |
반응형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혈변, 대변볼 때 피 원인과 자가진단 (0) | 2023.05.23 |
---|---|
대전 현충원 주변 맛집 (0) | 2023.05.22 |
여성 레인부츠 추천 - 웰링턴 부츠 브랜드와 라인업 한 번에 (0) | 2023.05.19 |
산양유 단백질 효능과 추천 (0) | 2023.03.07 |
폴리코사놀 효능 3가지와 복용법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