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구글 서치콘솔 네이버 웹마스터 도구(서치어드바이저) 줌 검색등록 사이트맵에 티스토리(TISTORY) 블로그 RSS 등록 하기

by Creater 2022. 10. 5.
반응형

블로그는 좋은 글을 쓰는 것도 중요하지만 노출이 되지 않는다면 좋은 글도 의미가 없습니다. 본 글에서는 블로그 글이 각 검색엔진에서 노출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블로그 RSS를 알아보고 등록 요청해보겠습니다.

 

블로그 RSS 의미와 시작하기

 

RSS는 Rich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줄임말로 임의의 사이트에 새로운 글(콘텐츠)이 개제 되었을 때 해당 사이트를 방문하지 않고 RSS 서비스를 통해 요청한 검색엔진에서 글(콘테츠)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즉 네이버 블로그의 글을 다음이나 카카오, 구글에서도 검색될 수 있도록 요청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RSS는 내 블로그가 존재하는 검색엔진 예를 들어 네이버 블로그를 운영하고 있다면 다음이나 구글에서 네이버 블로그의 존재 유무를 모를 수 있기 때문에 타 검색엔진에 네이버 블로그의 존재를 알리고 블로그 글(콘텐츠)을 검색할 수 있도록 요청하는 것입니다.

 

TISTORY 블로그를 NAVER, GOOGLE,  ZUM에서 검색이 가능하도록 등록 요청하는 곳은 다음과 같습니다.

 

 

블로그를 각 검색엔진에 등록하기 위해서는 블로그의 주소를 복사해서 각각의 사이트에서 요청 작업을 진행해야 하기 때문에 검색등록을 요청할 사이트를 모두 열어두고 작업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TISTORY 블로그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등록하기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

네이버 서치어드바이저와 함께 당신의 웹사이트를 성장시켜보세요

searchadvisor.naver.com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접속화면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접속하여 웹마스터 도구 선택

 

웹마스터 도구 내 사이트 등록 화면
웹마스터 도구에서 TISTORY 블로그 주소 입력

 

네이서 웹마스터 도구 내 사이트 소유확인 창
HTML 태크를 선택하고 아래 메타 태그를 복사

 

티스토리 블로그 설정 화면
티스토리 블로그 설정에서 스킨 편집 선택

 

티스토리 블로그 스킨 편집 화면
html 편집 선택

 

HTML 구조
<head> 아래에 복사한 값을 입력하교 적용

 

네이버 서치 어드바이저 소유 확인 완료 팝업화면
네이서 서치 어드바이저에서 소유확인 완료 진행

 


 

TISTORY 블로그 구글 서치 콘솔 등록하기

구글 서치 콘솔

 

Google Search Console

로그인 Google 검색 콘솔로 이동

accounts.google.com

구글 서치콘솔 접속화면
구글 서치 콘솔에서 등록을 요청할 사이트 주소를 입력

 

구글 서치콘솔 소유권 확인 창
소유권 확인 창에서 HTML 태그를 선택하여&nbsp; 메타태그를 복사

 

티스토리 블로그 설정화면
티스토리에서 스킨 편집을 선택

 

티스토리 스킨편집 화면
html 편집을 클릭

 

HTML 짜여진 모습
<head> 아래에&nbsp; 복사한&nbsp; 값을 입력하고 적용

 

구글 서치 콘솔 소유권 확인됨 화면
구글 서치 콘솔로 돌아가 소유권 확인을 완료

 


 

TISTORY 블로그 줌 사이트 검색 등록

ZUM 사이트 검색 등록

 

ZUM - 사이트 검색등록

 

help.zum.com

zum 사이트 검색등록 화면
줌은 신규등록을 선택하고 몇가지 항목만 입력하면 끝

 

3가지 검색엔진에 검색등록 요청이 끝나면 지금부터 작성하는 글은 각 검색엔진에서 검색이 될 확률이 높아지게 됩니다. 다만 검색등록을 하기 이전에 작성했던 글은  RSS 피드와 sitemap.xml 작업을 추가로 해주어야 노출이 쉽게 됩니다. 이는 다음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티스토리 블로그는 수익형 블로그로 많이 활용되기 때문에 최대한 많이 노출되어야 합니다. 노출을 위해서는 여러 검색엔진에서 검색되는 것이 필요하고 이를 위해 각 검색엔진에 자신의 블로그를 검색등록 요청하고   RSS 피드 작업하는 것은  필수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